입력 2015.10.15 (21:40) | 수정 2015.10.15 (21:50) 뉴스 9
관련영상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65142
<앵커 멘트>
오늘은 시각장애인의 날인데요, 이들의 보행을 돕기 위해 설치하고 있는 각종 시설물들의 상태를 점검해 보니, 오히려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김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각장애 1급인 직장인 이창현 씨는 조심조심 걷는 게 습관이 됐습니다.
볼라드 즉, 차량 진입 방지 말뚝에 부딪혀 다친 게 한 두 번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창현(시각장애인) : "정말 그대로 넘어졌죠. 정강이 부분에 멍이 4개월 정도 간적이 있어요. (볼라드를) 피하기 위해서 또 다른 장애물이랑 부딪치는 경우도 생기고.."
대부분의 말뚝 앞에 일단 멈추라는 의미의 점형 블록이 없어서 말뚝이 있다는 걸 예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이렇게 시각장애인들의 안전한 보행을 돕는 점자 블록 바로 위에 볼라드가 설치된 경우도 있습니다.
볼라드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해 80센터미터 내외의 높이로 설치해야 하는데, 규정 높이보다 낮거나 (찰칵) 단단한 화강암 재질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시에서 관리하는 볼라드만 4개 중 하나꼴로 규정에 맞지 않고, 개인이 설치한 말뚝은 정확한 통계조차 없습니다.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도 문젭니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음향신호기가 적지 않고, 서울에만 음향신호기가 없는 신호등이 절반에 달해 횡단보도를 건널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복합교차로에서 리모콘을 누르면 음향신호기 여러 대가 동시에 작동해 무슨 말인지 알아듣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이병돈(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회장) : "시각장애인들은요, 감각이 생명입니다. (그런데 리모컨이) 작동이 잘 작동이 안 되는 문제가 크고, 또 신호등에 음향신호기가 설치가 안 된 곳이 많아서 아주 위험한.."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관련뉴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20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011 | 국민연금공단 신사옥, 웃을 수 없는 장애인들 | 편의증진센터 | 2015-07-31 | 5505 | |
1010 | 금강휴게소, 스테인리스 점자블록 수두룩 안전위협 | 편의증진센터 | 2015-07-20 | 6859 | |
1009 | 아쉬운 ‘BF 최우수’ 성모의지 장애인 편의 | 편의증진센터 | 2015-07-20 | 6723 | |
1008 | 용인시, 공공청사 장애인 편의시설 일제점검 | 편의증진센터 | 2015-07-20 | 6022 | |
1007 | 시각장애인도 콜라·사이다 구별해 먹고 싶어요 | 편의증진센터 | 2015-07-20 | 6437 | |
1006 | AK수원점 몰상식 바닥 장식 ‘빈축’ | 편의증진센터 | 2015-07-20 | 7134 | |
1005 | 장애인고용사업장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첫 인증 | 편의증진센터 | 2015-07-15 | 6524 | |
1004 | 장애인문화예술센터 장애인 편의 '흑과 백' | 편의증진센터 | 2015-07-15 | 6832 | |
1003 | 안산시, 제일CC사거리 육교 설치…장애인 편의도 고려 | 편의증진센터 | 2015-07-10 | 5755 | |
1002 | 서울메트로, 지하철 장애인 편의 개선 착수 | 편의증진센터 | 2015-07-10 | 7061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