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안양 사회복지시설, 장애인 불편 ‘외면’
편의증진센터
2015-11-27
6228


편의시설 실태조사… 부적합·미설치 68건 적발
 화장실 출입구 점형블록·수평손잡이 없는 곳도

 양휘모 기자 return778@kyeonggi.com   2015년 11월 20일 금요일  제10면


안양시 관내 사회복지시설에 설치된 장애인 편의 시설이 설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며 제 기능을 상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하다.

19일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안양시지회에 따르면 지난 9월 한달간 안양시지회 도민촉진단은 관내 노유자 시설(사회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 등)을 대상으로 장애인편의시설 112건의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중 부적합 및 미설치 시설 68건이 적발됐다.

동안구 A사회복지관의 1층 화장실 주 출입구에는 시각장애인을 유도하는 점형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아 장애인들의 이용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 장애인들이 휠체어에서 대변기로 이동 시 지지대 역할을 해주는 회전용 손잡이(수평 손잡이)는 고정된 채 방치돼 있었고 장애인 이동 때 중심을 잡아줄 수직 손잡이도 마련돼 있지 않았다.

동안구 B사회복지관 4층 여자화장실은 출입구 옆 벽면의 1.5m 높이에 남자용과 여자용을 구별할 수 있는 점자표지판을 부착해야 함에도 불구, 이같은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만안구 C사회복지관 3층 여자화장실에도 화장실 사용여부 구분을 위한 시각설비가 없어 장애인들이 이용에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대한 관리 부실도 도마 위에 올랐다. 비산동 D사회복지관은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이용 가능대상자와 위반 시 과태료 처분 규정 및 신고전화 번호 등이 명시된 안내표지판이 설치되지 않은 채 운영 중이었다.

시각장애인 C씨(67)는 “장애인 복지 향상에 힘써야 할 사회복지시설의 현 실태가 이 정도 수준이면 다른 곳은 말할 필요도 없다”고 푸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지적된 장애인 편의시설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점검을 통해 장애인들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안양=한상근ㆍ양휘모기자



관련기사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78692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9개 / 321 페이지 중 200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219 사람이 먼저인 교통정책   편의증진센터 2016-03-31 6154
1218 서울시, 종로구 행촌마을길·금천구 공공건축물에 유니버셜디자인 적용   편의증진센터 2016-03-31 6004
1217 전철역 편의시설 그래픽 정보로 안내   편의증진센터 2016-03-31 6280
1216 보행 약자를 위한 서울시 근교산 자락길 인기...15개 구에 18개 조성   편의증진센터 2016-03-30 6629
1215 장애인 편의시설을 늘리는 방법   편의증진센터 2016-03-30 6520
1214 화성동부경찰서 교통취약계층 위해 횡단보도 신호시간 시스템 개선 '눈길'   손지민 2016-03-28 7684
1213 전남대 장애인 권익보호 앞장   편의증진센터 2016-03-28 5505
1212 용인 구갈동주민센터 점자블록 등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편의증진센터 2016-03-28 8293
1211 인천공항, 대중교통 이용객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구축   편의증진센터 2016-03-25 6010
1210 개발원, 'BF인증제 활성화 장애계 간담회' 개최   편의증진센터 2016-03-25 6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