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점자블록 따라 마음놓고 산책할 수 있게”
편의증진센터
2015-12-18
6857

박성진 기자

입력 2015-12-18 03:00:00 수정 2015-12-18 03:00:00



[내가 바뀌면 세상이 바뀝니다]
[12월의 주제 ‘이제는 실천’]<242>장애물 없는 시설 만들기



세 살 때 눈이 멀었다. 심한 열병이 빛을 앗아갔다. 항상 걸음을 조심해야 했다. 다른 사람이나 벽에 부딪치기 일쑤였다. 마음 놓고 발을 내디딜 수 있는 곳이 없었다. 이형례 씨(66·여)에게 하얀색 지팡이에 의존해 혼자 길을 걷는 것은 상상 속에서만 가능한 일이었다.

2008년 상상은 현실이 됐다. 서울 남산에 걷기 좋은 산책로가 생겼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이 3.5km에 이르는 산책로를 따라 깔려 있었다. 급격히 꺾이는 부분이 없어 부딪칠 염려 없이 편히 걸을 수 있었다. 이 씨는 매일 이 산책로를 따라 운동했다. 15일 오전 10시에도 자주색 털모자를 쓰고 오리털 점퍼까지 껴입은 이 씨는 오른손에 쥔 하얀색 지팡이로 바닥을 좌우로 가볍게 ‘콩콩’ 하고 두드리며 산책을 시작했다. 이 씨는 “서울 시내에 시각장애인들이 마음 놓고 발 디딜 수 있는 공간이 생겨 정말 행복하다”고 말했다.

장애인 편의시설이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07년부터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건물이나 시설물을 인증해 주는 제도다. 서울시 청사,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국립현대미술관 등 전국 203곳이 인증을 받았다.

하지만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정작 장애인들이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에는 공원 입구까지 300여 m에 걸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다. 하지만 출입구 공사 가림막 등이 블록 연결을 막고 있었고 정작 공원 내부에는 블록이 없어 시각장애인 혼자 공원시설을 즐길 수 없는 구조였다. 15일 이곳을 찾은 시각장애인 나병택 실로암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52)은 “점자블록만으로는 목적지를 제대로 찾는 데 한계가 있고 그마저도 공사 때문에 중간에 끊겨 있어 길 찾기가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승철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재활지원센터 팀장은 “장애인 편의시설이 수적으로는 늘고 있지만 정작 실효성이 없는 경우가 많다”며 “장애인들이 직접 의견을 내고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성진 기자 psjin@donga.com


관련기사
http://news.donga.com/3/all/20151218/75431492/1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17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041 [TF의 눈] 지하철역 점자표기, 눈에 다 보이잖아요~   편의증진센터 2015-09-14 6783
1040 안산 상록구청, 인도에 선형블록 설치 '외면'   편의증진센터 2015-09-11 6485
1039 “장애인복지관 가는길 20㎝ 높이 보도턱”   편의증진센터 2015-09-11 7279
1038 '검정색' 점자블록…"시각장애인 어떻게 보라고"   편의증진센터 2015-09-11 6944
1037 방치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럭   편의증진센터 2015-09-11 6428
1036 안전한 횡단보도? 시각장애인 ‘위험천만’   편의증진센터 2015-09-11 5778
1035 점자블록 위 횡단보도표지판 설치 ‘이래서야’   편의증진센터 2015-09-11 5642
1034 시각장애인 배려 부족, 성포동 ‘홈플러스 안산점’   편의증진센터 2015-09-11 7072
1033 경기도교육청, 학교내 편의시설 관리상태 점검   편의증진센터 2015-09-11 5071
1032 장애인 회피, 성균관대역 30개월 후 싹 바뀐다   편의증진센터 2015-09-11 6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