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시각장애인 "대중교통 이용, 그림의 떡"…위험·사고 노출
편의증진센터
2016-02-29
7312

 앵커]
TV조선이 시각 장애인인 20대 여대생과 함께 버스를 타고 지하철을 타봤습니다. 서울은 대중교통이 잘 돼있는 편이라고 하지만, 시각장애인들에겐 매순간 목숨을 걸어야 할 만큼 아직도 위험한 도시였습니다.

윤우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각 장애인인 24살 한주연 씨는 버스를 타러 갈 때마다 두렵습니다. 점자 보도블럭은 버스정류장 위치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버스가 도착하는 소리와 '감'에만 의존해야합니다. 

"151번 버스가 도착하였습니다."

버스에 오를 때면 출입문을 못찾아 부딪히기 일쑤입니다. 어렵사리 타서도 카드 단말기를 못 찾습니다.

"아, 어디지? (여깁니다, 여기)"

지하철에 타기도 무섭습니다.

보통 스크린도어는 선로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이 스크린도어가 없는 곳에서는 장애인이 바닥에 부착된 점자블럭을 확인하려고 하는 경우 추락 위험이 높아집니다.

전국 지하철역 831곳 중에서 스크린도어가 없는 곳은 217곳이나 됩니다. 점자 블럭을 따라 원하는 출구로 나가긴 불가능합니다.

"아, 미치겠네"

휴대전화로 역무원을 부를 수 있지만 소음 때문에 잘 되질 않습니다.

한주연 / 시각장애인
"대중교통 이용하면 편하고 좋지만, '그림의 떡'이에요, 왜냐하면 거의 모든 순간이 사고를 당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모든 순간에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죠."

손지민  / 한국시각장애인편의증진센터 연구원
"시각장애인 대중교통 사업은 시행되는 것도 거의 없고, 연구 선행도 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대중을 위한 대중교통이지만 장애인이 대중에 속하기에는 아직 멀어 보입니다.

TV조선 윤우리입니다. 
- 링크 페이지에서는 제 된 동영상을 볼 수 있씁니다

출처: 티비조선

해당기사링크: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28/2016022890060.html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01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201 국토부, ‘교통복지지수 평가 순위 경남·경기·세종·충북 순’   편의증진센터 2016-03-18 5414
1200 허술한 대피정보…장애인 혼란만 가중   편의증진센터 2016-03-18 6235
1199 보행약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   편의증진센터 2016-03-17 5755
1198 연안 여객선·터미널 교통약자 시설 '최악'   편의증진센터 2016-03-17 5528
1197 공주 볼라드 우후죽순…시민불편 외면   편의증진센터 2016-03-17 5912
1196 보행 약자 배려없는 인천 신설기관들   편의증진센터 2016-03-14 5553
1195 시각장애인 5만 명 이용하는데 엘리베이터도 없는 점자도서관   편의증진센터 2016-03-11 6551
1194 시내버스 편하게 이용하세요"…옥천군 '승차도우미' 배치   편의증진센터 2016-03-10 7238
1193 실체 없는 장애인 재난관리체계, 장애인 안전 담보할까   편의증진센터 2016-03-10 5354
1192 인도 위 '지뢰' 사람 잡는 '볼라드'   편의증진센터 2016-03-09 6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