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4,621명으로 전년(4,762명)에 이어 2년 연속 5,000명 이하를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 역대 가장 적은 교통사고 사망자 수다. 그럼에도 지난 2년간 1만명에 가까운 소중한 생명이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었고 이로 인해 고통받는 가족이 많다는 점은 우리 교통문화의 부끄러운 단면이고 사회적으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다. 특히 교통약자로 볼 수 있는 어린이 사망자는 25% 증가했다. 어린이 사망자 가운데 보행 중 사고 비율이 63%에 달해 전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노인 운전자 사망자도 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로 보는 교통사고는 단순히 수치를 분석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당장 우리에게 필요한 일은 도로 현장에서, 그리고 교통정책에서 ‘사람’이 얼마나 존중받고 배려를 받고 있는지 짚어봐야 하는 일이다.
독일이나 스웨덴·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시설 환경 개선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심 제한속도를 시속 60㎞에서 50㎞로 낮춘 덴마크의 경우 도심 사망사고는 24%나 줄었다. 이렇게 속도를 줄이고 자전거도로와 보도를 넓혀 교통약자의 통행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은 참으로 바람직해 보인다.
어린이와 노인·여성 등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사회는 건강하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자동차보다 사람을 우선하는 교통정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가 됐다. 최근 서울시가 시민과 손잡고 ‘차보다 사람이 우선인 교통체계’를 만들기 위해 시민과 소통하는 모습이나 수원시가 보행자 안전과 편의를 우선해 지하보도 옆에 횡단 보도를 신설하는 모습을 보면 과거 자동차 우선 정책이 점차 보행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어떤 경우라도 자동차가 보행자보다 먼저일 수는 없다. 그래서 수없이 많은 교통정책도 사람이 중심이 돼야 한다. 그것은 바로 ‘사람이 우선’이라는 사회적 규범과 규율이 될 것이다. 보행자를 배려하는 운전습관으로 5,000만명의 보행자와 운전자가 함께 안전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바란다. 사람이 우선, 자동차는 그 후다.
출처: 서울경제
해당기사링크: http://economy.hankooki.com/lpage/opinion/201603/e2016033018300648120.htm
전체 검색 수 : 3209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 3209 | '교통약자'에 시각장애인은 없었다 – 스마트 철도기술 전면 재검토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10-24 | 7 | |
| 3208 |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도로교통공단과 협업하여 흰지팡이날 기념 시각장애... | 시각편의센터 | 2025-10-24 | 12 | |
| 3207 | 2025년도 제2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 시각편의센터 | 2025-10-22 | 30 | |
| 3206 |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의 올바른 설치 기준 정립 및 개발 연구 이해관계자 자... | 시각편의센터 | 2025-10-22 | 28 | |
| 3205 | 2025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무자 교육 진행 | 시각편의센터 | 2025-10-22 | 30 | |
| 3204 | 모두가 '안전하게' 걷는 나라를 위하여 | 시각편의센터 | 2025-09-10 | 143 | |
| 3203 | 선형블록 좌우 60cm 공간 확보로 시각장애인의 안전보장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06-30 | 238 | |
| 3202 | "노란색 횡단보도" 확대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합의 우선되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06-30 | 211 | |
| 3201 |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 시각편의센터 | 2025-03-31 | 771 | |
| 3200 |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 시각편의센터 | 2025-03-11 | 594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