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치악산 금강소나무 숲길에서 장애인들이 불편함 없이 아름다운 경관을 구경하고 있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은장 애인들이 국립공원을 찾았을 때 편의시설 부족으로 불편함이 초래돼 이를 개선 해아름다운 경관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불편을 없앤다.
관리공단에 따르면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국립공원 탐방기회를 늘리기 위해 2018년까지 전국 국립공원 20곳에 총 38개 노선, 연장 38.5km의 무장애 탐방로를 조성한다.
공단은 올해 설악산 소공원~와선대 구간 2.2km, 내장산 탐방안내소~내장사 구간 0.5km 등 5곳의 국립공원에서 4.5km 길이의 무장애 탐방로를 조성할 예정이다.또한, 한려해상 연대도를 탐방할 수 있는 해변구간과 설악산 오색 계곡길, 경주 무장봉길 등 전국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경관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교통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무장애 탐방로를 조성할 계획이다.
‘무장애 탐방로’는 노약자, 장애인 등 모든 국민이 차별 없이 국립공원의 자연경관을 감상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장벽 없는(Barrier-Free) 탐방로를 말한다.
무장애 탐방로는 주차장, 화장실, 야영장 등 공원시설과 접근성이 용이하고 숲, 계곡 등에 연접해 자연환경을 최대한 체험할 수 있는 구간으로 선정했다.평균 폭 1.8m이상, 평균 경사도 8% 이하로 조성되었으며, 휠체어나 유모차를 가지고도 탐방할 수 있다.
무장애 탐방로는 2010년부터 시작했으며, 지난해 기준으로 가야산, 지리산, 북한산, 태안해안 등 16곳의 국립공원 21개 구간에 23.4km를 조성했다.
공단 관계자는 평소 국립공원 방문이 어려운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들이 국립공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생태 나누리 사업을 추진하는 등 ‘생태복지’ 실현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고 전했다.
출처: 환경매일뉴스
해당기사링크: http://biz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3684608475
전체 검색 수 : 3208개 / 321 페이지 중 200 페이지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 1218 | 서울시, 종로구 행촌마을길·금천구 공공건축물에 유니버셜디자인 적용 | 편의증진센터 | 2016-03-31 | 6003 | |
| 1217 | 전철역 편의시설 그래픽 정보로 안내 | 편의증진센터 | 2016-03-31 | 6280 | |
| 1216 | 보행 약자를 위한 서울시 근교산 자락길 인기...15개 구에 18개 조성 | 편의증진센터 | 2016-03-30 | 6629 | |
| 1215 | 장애인 편의시설을 늘리는 방법 | 편의증진센터 | 2016-03-30 | 6520 | |
| 1214 | 화성동부경찰서 교통취약계층 위해 횡단보도 신호시간 시스템 개선 '눈길' | 손지민 | 2016-03-28 | 7684 | |
| 1213 | 전남대 장애인 권익보호 앞장 | 편의증진센터 | 2016-03-28 | 5505 | |
| 1212 | 용인 구갈동주민센터 점자블록 등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 편의증진센터 | 2016-03-28 | 8293 | |
| 1211 | 인천공항, 대중교통 이용객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구축 | 편의증진센터 | 2016-03-25 | 6010 | |
| 1210 | 개발원, 'BF인증제 활성화 장애계 간담회' 개최 | 편의증진센터 | 2016-03-25 | 6477 | |
| 1209 | 인천시 '도로 위 암초' 부적격 볼라드 모두 없앤다 | 편의증진센터 | 2016-03-24 | 6696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