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잠자는 음향신호기’ 길 잃은 시각장애인들
편의증진센터
2016-04-22
6756

 <앵커 멘트>
일정 규모 이상의 횡단보도에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설치가 의무화돼있죠.
시각장애인들의 눈이 돼야 할 이 음향신호기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고장난 채 방치된 곳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선천적 시각장애로 한 번도 앞을 보지 못한 사람에게 낯선 길을 걷고 또 걸어야 하는 일상은 모험과 같습니다.
의지할 것은 점자블록과 이를 읽을 수 있는 지팡이 뿐입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는 일은 더 어렵습니다.
음향신호기 인근에 점자 블록이 깔려있지 않아 발이 빠지고, 어렵사리 음향신호기를 찾아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훈(시각장애인) : "음향신호기가 고장 나있으면 주변 정보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독립보행이 힘들어지거든요."
더 큰 문제는 음향신호기 고장 신고를 하려해도 전화번호 안내가 점자로 돼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전국 2만 7천여 개의 음향신호기를 자치단체별로 관리하다보니, 고장신고 전화번호 점자표기 규정이 없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향신호기 상단에 고장신고 전화번호 점자 표기를 의무화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영택(국민권익위원회 제도개선과 사무관) : "각 시·도의 지역번호 다음에 120으로 전화를 하시면 바로 신고접수해서 고장된 것을 수리할 수 있습니다. "
내실있는 장애인 지원정책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눈높이에 맞춘 행정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출처: kbs

해당기사링크: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67293&ref=A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97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241 엉터리 점자블록·고장 난 음향신호기…장애인이 찾아낸다   편의증진센터 2016-04-12 5591
1240 서울시, 복지시설 12곳에 ‘유니버설디자인’   편의증진센터 2016-04-12 6536
1239 행정기관 무관심에 안전 위협하는 점자블록   편의증진센터 2016-04-12 6222
1238 장애인도 편리하게 이동할 권리가 있다   편의증진센터 2016-04-11 5731
1237 전남도청사 미흡한 장애인 편의 '수두룩'   편의증진센터 2016-04-11 5732
1236 보행로에 말뚝… 시민 위협하는 대형 유통점   편의증진센터 2016-04-11 5952
1235 투표소 장애인시설 모니터링..."모양갖추기 급급 투성이"   편의증진센터 2016-04-08 5673
1234 그 길 속 그 이야기 <72> 남산순환나들길 쉽게 걷는 길   편의증진센터 2016-04-08 7357
1233 충북선관위, 장애인 투표편의 확대 시행   편의증진센터 2016-04-07 5015
1232 연령·성별·장애의 벽 없이 누구나 편리하게! 유니버설 디자인의 세계   편의증진센터 2016-04-07 7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