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일정 규모 이상의 횡단보도에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설치가 의무화돼있죠.
시각장애인들의 눈이 돼야 할 이 음향신호기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고장난 채 방치된 곳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선천적 시각장애로 한 번도 앞을 보지 못한 사람에게 낯선 길을 걷고 또 걸어야 하는 일상은 모험과 같습니다.
의지할 것은 점자블록과 이를 읽을 수 있는 지팡이 뿐입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는 일은 더 어렵습니다.
음향신호기 인근에 점자 블록이 깔려있지 않아 발이 빠지고, 어렵사리 음향신호기를 찾아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훈(시각장애인) : "음향신호기가 고장 나있으면 주변 정보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독립보행이 힘들어지거든요."
더 큰 문제는 음향신호기 고장 신고를 하려해도 전화번호 안내가 점자로 돼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전국 2만 7천여 개의 음향신호기를 자치단체별로 관리하다보니, 고장신고 전화번호 점자표기 규정이 없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향신호기 상단에 고장신고 전화번호 점자 표기를 의무화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영택(국민권익위원회 제도개선과 사무관) : "각 시·도의 지역번호 다음에 120으로 전화를 하시면 바로 신고접수해서 고장된 것을 수리할 수 있습니다. "
내실있는 장애인 지원정책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눈높이에 맞춘 행정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출처: kbs
해당기사링크: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67293&ref=A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04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171 | 안내 표지판 교통 약자에 ‘혼란 가중’ | 편의증진센터 | 2016-02-29 | 5963 | |
1170 | 건축사 대상 ‘장애인 편의시설’ 실무교육 실시 | 편의증진센터 | 2016-02-26 | 6286 | |
1169 | 금천구, 보행약자 위한‘무장애 숲길’개통 | 편의증진센터 | 2016-02-25 | 6552 | |
1168 | 방심하다 쾅…‘인도 위 지뢰’ 서울 1만개 불량 볼라드 | 편의증진센터 | 2016-02-25 | 6066 | |
1167 | 장애인 편의시설 필요성 '카툰'으로 본다 | 편의증진센터 | 2016-02-25 | 6028 | |
1166 | 세종선관위 장애인 단체와 투표소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 | 편의증진센터 | 2016-02-24 | 6040 | |
1165 | <독자칼럼> 교통도 약자 서비스 확대해야 | 편의증진센터 | 2016-02-23 | 6128 | |
1164 | 서울 장애학생 진학 예정 20곳 선정 장애물 없는 학교 조성 | 편의증진센터 | 2016-02-23 | 7303 | |
1163 | 제주도, 교통약자 편의위해 승차대 250곳 개선 | 편의증진센터 | 2016-02-22 | 5321 | |
1162 | 문체부, 3월 4일까지 '2016 열린 관광지 공모전' 시행 | 편의증진센터 | 2016-02-19 | 6811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