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교통약자 맞춤형 교통안전교육 형식만으론 안된다
편의증진센터
2016-09-01
6166

 

교육을 받는 것과 받지 않는 것의 차이는 엄청나다. 한국만큼 교육열이 높은 곳도 없다. 그럼에도 유독 안전에서만은 교육이 부족한 한국이다. 이를 바꿔야 한다.

그런데 이번에 국토교통부가 어린이·고령자 등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한다고 한다. 어떤 내용일까. 사실 안전교육만큼 중요한 것도 없지만 문제는 그 교육방식이다. 여간 내용이 알차지 않고는 수박 겉핥기식 밖에 되지 않는 것이 안전에 대한 것이다. 그래서 국토교통부에서 이 부분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쓴 것 같다.

미취학 어린이들을 대상으로는 교통안전 인증제를 도입하는 것이 그 중 하나다. 초등학교 입학 전 어린이들이 교통안전에 대한 올바른 습관을 갖고 스스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교통문화를 정착시키자는 의도다. 따라서 이런 쪽에 관심을 갖도록 교통안전 이론과 실습교육을 이수한 어린이에게는 교통안전 인증카드를 발급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을 마련한 것이다.

교재 내용은 신호등, 횡단보도, 인도, 차도 등 교통환경 숙지 및 횡단보도 건너는 법, 상황별 보행시 주의점, 바퀴 달린 놀이기구 안전하게 타는 법, 교통수단 안전하게 이용하는 법, 교통안전게임 등 여러 분야로 구성됐다.

교통안전 인증카드는 교육 수료 후 교통안전교육 인증제를 통과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생에게 발급할 계획으로 카드에는 나중에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IC카드도 삽입해서 교부한다.

고령자 역시 교통안전에 취약하기는 마찬가지다. 고령자에게는 고령화 사회와 교통사고 심각성,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 고령자 교통안전 기본수칙, 상황별 교통안전, 교통사고 발생시 조치요령 등을 교육한다.

선진국은 안전한 나라가 선진국이며 안전한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교통사고부터 획기적으로 줄여야 한다. 우리는 지난해 어린이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1만2192건이나 되며 이중 사망자수는 65명이나 된다. 전년대비 사고발생 82건, 사망 13명이 늘어 교통사고 발생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고령자 교통사고 발생 건수와 사망자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마당에 어찌 우리가 선진을 말할 수 있겠는가.

국민안전 전반과 분야별 정부대책에 대한 교육은 당연한 것이고 이에 더해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한 교통안전교육이 확실한 효과를 내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으로는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이런 교통안전교육도 안전문화운동 확산의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교통약자 안전교육이 절대 형식에 그쳐서는 안될터이니 교육 콘텐츠 개발에도 힘을 쏟아야 마땅하다.

 

출처: 안전신문

해당기사링크:

http://www.safet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466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71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501 진주 가호동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   편의지원센터 2017-03-21 5865
1500 [인터뷰] 정연모 교수 “드론 특허로 안전 ‘사수'”   편의지원센터 2017-03-21 5975
1499 제주, 장애물 없는 공공시설물 조성   편의지원센터 2017-03-20 5684
1498 보성버스터미널‘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조성   편의지원센터 2017-03-20 5597
1497 김재관·김의식 대구시의원 시정질문·5분발언   편의지원센터 2017-03-16 6017
1496 장애인 눈높이 맞춘 ‘서울로 7017’ 편의시설   편의지원센터 2017-03-16 5390
1495 경주시, 횡단보도 LED 안전등 설치로 야간 보행자안전 지킨다   편의지원센터 2017-03-15 5568
1494 지하철1~4호선 운행 정보 실시간으로 누구나 본다   편의지원센터 2017-03-15 7041
1493 서울시 대로변 횡단보도 턱 낮추고 점자블록 손본다   편의지원센터 2017-03-13 5591
1492 용산역 시각장애인 위한 점자블록 이래서야   편의지원센터 2017-03-13 6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