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교통약자 맞춤형 교통안전교육 형식만으론 안된다
편의증진센터
2016-09-01
6162

 

교육을 받는 것과 받지 않는 것의 차이는 엄청나다. 한국만큼 교육열이 높은 곳도 없다. 그럼에도 유독 안전에서만은 교육이 부족한 한국이다. 이를 바꿔야 한다.

그런데 이번에 국토교통부가 어린이·고령자 등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한다고 한다. 어떤 내용일까. 사실 안전교육만큼 중요한 것도 없지만 문제는 그 교육방식이다. 여간 내용이 알차지 않고는 수박 겉핥기식 밖에 되지 않는 것이 안전에 대한 것이다. 그래서 국토교통부에서 이 부분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쓴 것 같다.

미취학 어린이들을 대상으로는 교통안전 인증제를 도입하는 것이 그 중 하나다. 초등학교 입학 전 어린이들이 교통안전에 대한 올바른 습관을 갖고 스스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교통문화를 정착시키자는 의도다. 따라서 이런 쪽에 관심을 갖도록 교통안전 이론과 실습교육을 이수한 어린이에게는 교통안전 인증카드를 발급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을 마련한 것이다.

교재 내용은 신호등, 횡단보도, 인도, 차도 등 교통환경 숙지 및 횡단보도 건너는 법, 상황별 보행시 주의점, 바퀴 달린 놀이기구 안전하게 타는 법, 교통수단 안전하게 이용하는 법, 교통안전게임 등 여러 분야로 구성됐다.

교통안전 인증카드는 교육 수료 후 교통안전교육 인증제를 통과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생에게 발급할 계획으로 카드에는 나중에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IC카드도 삽입해서 교부한다.

고령자 역시 교통안전에 취약하기는 마찬가지다. 고령자에게는 고령화 사회와 교통사고 심각성,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 고령자 교통안전 기본수칙, 상황별 교통안전, 교통사고 발생시 조치요령 등을 교육한다.

선진국은 안전한 나라가 선진국이며 안전한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교통사고부터 획기적으로 줄여야 한다. 우리는 지난해 어린이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1만2192건이나 되며 이중 사망자수는 65명이나 된다. 전년대비 사고발생 82건, 사망 13명이 늘어 교통사고 발생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고령자 교통사고 발생 건수와 사망자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마당에 어찌 우리가 선진을 말할 수 있겠는가.

국민안전 전반과 분야별 정부대책에 대한 교육은 당연한 것이고 이에 더해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한 교통안전교육이 확실한 효과를 내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으로는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이런 교통안전교육도 안전문화운동 확산의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교통약자 안전교육이 절대 형식에 그쳐서는 안될터이니 교육 콘텐츠 개발에도 힘을 쏟아야 마땅하다.

 

출처: 안전신문

해당기사링크:

http://www.safet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466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87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341 경기도 사람잡는 '볼라드' 2만6319개 정비   편의증진센터 2016-07-04 5410
1340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문턱없는 등기국을 위한 장애인 편의시설 개최   편의증진센터 2016-07-01 5867
1339 지하철역 자전거경사로 시각장애인 보행 걸림돌   편의증진센터 2016-07-01 6056
1338 걷기 쉬운 무장애 탐방로를 아시나요?”   편의증진센터 2016-06-30 6626
1337 대전도시철도, 교통약자 위한 자동 안전발판 설치   편의증진센터 2016-06-30 6003
1336 신축 3층 건물, 창고 전락할 판   편의증진센터 2016-06-29 5997
1335 교통약자 위한 철도역사 정보 한눈에 보세요   편의증진센터 2016-06-29 5832
1334 서울 아파트에 '노인·장애인 복지시설' 설치근거 마련   편의증진센터 2016-06-29 6392
1333 충북 청주시 서원구 수곡2동,‘장애체험 통해 보행안전 지도’만든다   편의증진센터 2016-06-27 5321
1332 양팔 절단 장애인도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이용할 수 있어야   편의증진센터 2016-06-27 6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