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 설치 군포 교통안전 크게 개선됐다
편의지원센터
2017-09-28
6975

전국 최초 도입, 2곳 시범운영… 무단횡단 감소

 

▲ 군포-횡단보도 안전보행버튼 효과 (1)
▲ 군포시가 지난 5월 전국 최초로 설치한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 시는 이 시스템을 운영한 결과 무단 횡단 비율이 감소하는 등 교통안전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군포시 제공

 

군포시가 교통 약자를 위해 지난 5월 전국 최초로 설치한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무단 횡단 비율이 감소하는 등 교통안전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지역의 교통 약자는 7만1천118명으로 전체 인구의 24.8% 수준이며, 이 가운데 고령자는 2만8천112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돼 상대적으로 신체능력이 떨어지는 어르신을 중심으로 교통 약자에 대한 보행안전 대책이 필요했다.

시는 이에 지난 5월 평소 유동인구가 많은 시청 앞 삼거리와 이마트 앞 단일로 등 2곳에 신호등이 적색일 때 스위치를 누르면 6초 정도 보행신호 시간이 늘어나는 안전보행 버튼을 전국 최초로 도입, 시범 운영했다.

최근 진행된 (사)한국ITS학회와 아주대 공동 조사 결과 사전 평가(4월 26~29일) 대비, 두 곳에서의 무단횡단 비율은 평균 2.5% 감소하고, 통과 교통량과 통행속도 등은 비슷한 수준으로 측정돼 교통 안전성과 효율성을 모두 만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설문 조사에선 교통 약자의 86%, 비 교통 약자의 91% 등이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다만, 70% 이상의 시설 인지율에 비해 15% 정도만 시설을 이용한 것으로 집계돼 앞으로 작동법 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앙공원에서 이마트 방향 횡단보도 오후 시간대는 사전 평가 대비, 무려 52%나 무단 횡단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자와 같은 교통 약자들은 물론 시민들의 보행 안전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영환 교통과장은 “교통 약자를 비롯한 시민들의 보행 안전을 위해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을 점진적으로 확대 설치하겠다”며 “앞으로도 경찰서 및 장애인 단체 등과 협력해 보행자 중심의 교통정책을 시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통 약자 안전보행 버튼’은 기존 신호등에 설치된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 버튼을 같이 이용할 수 있어 설치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출처: 경기일보

해당기사링크: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399321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3201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시각편의센터 2025-03-31 133
3200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시각편의센터 2025-03-11 146
3199 연구 뿐인 시각장애인 실내 보행 네비게이션, 상용화의 그날은 언제   시각편의센터 2025-01-10 338
3198 진정한 의미의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법을 기대하며   시각편의센터 2025-01-10 288
3197 [홍보]2025년 센터 주요 사업 안내   시각편의센터 2025-01-06 294
3196 [인식개선, 뉴스]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각 도시철도 운영사와 차...   시각편의센터 2024-12-23 204
3195 [인식개선, 뉴스]2024 17개 시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실무자 워크...   시각편의센터 2024-12-23 258
3194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 필요 첨부파일 1개 있음 시각편의센터 2024-12-16 164
3193 [인식개선, 이슈]화재 등 재난극복을 위한 시각장애인 자구책 마련 절실   시각편의센터 2024-12-13 180
3192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에겐 불편한 편의시설- 혼자서는 풀 수 없는 열...   시각편의센터 2024-12-13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