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도입, 2곳 시범운영… 무단횡단 감소
![]() |
▲ 군포시가 지난 5월 전국 최초로 설치한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 시는 이 시스템을 운영한 결과 무단 횡단 비율이 감소하는 등 교통안전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군포시 제공 |
군포시가 교통 약자를 위해 지난 5월 전국 최초로 설치한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무단 횡단 비율이 감소하는 등 교통안전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지역의 교통 약자는 7만1천118명으로 전체 인구의 24.8% 수준이며, 이 가운데 고령자는 2만8천112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돼 상대적으로 신체능력이 떨어지는 어르신을 중심으로 교통 약자에 대한 보행안전 대책이 필요했다.
시는 이에 지난 5월 평소 유동인구가 많은 시청 앞 삼거리와 이마트 앞 단일로 등 2곳에 신호등이 적색일 때 스위치를 누르면 6초 정도 보행신호 시간이 늘어나는 안전보행 버튼을 전국 최초로 도입, 시범 운영했다.
최근 진행된 (사)한국ITS학회와 아주대 공동 조사 결과 사전 평가(4월 26~29일) 대비, 두 곳에서의 무단횡단 비율은 평균 2.5% 감소하고, 통과 교통량과 통행속도 등은 비슷한 수준으로 측정돼 교통 안전성과 효율성을 모두 만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설문 조사에선 교통 약자의 86%, 비 교통 약자의 91% 등이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다만, 70% 이상의 시설 인지율에 비해 15% 정도만 시설을 이용한 것으로 집계돼 앞으로 작동법 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앙공원에서 이마트 방향 횡단보도 오후 시간대는 사전 평가 대비, 무려 52%나 무단 횡단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자와 같은 교통 약자들은 물론 시민들의 보행 안전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영환 교통과장은 “교통 약자를 비롯한 시민들의 보행 안전을 위해 횡단보도 안전보행 버튼을 점진적으로 확대 설치하겠다”며 “앞으로도 경찰서 및 장애인 단체 등과 협력해 보행자 중심의 교통정책을 시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통 약자 안전보행 버튼’은 기존 신호등에 설치된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 버튼을 같이 이용할 수 있어 설치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출처: 경기일보
해당기사링크: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399321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53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681 | 진주 대곡면 무장애도시 BF인증시설 견학 | 편의지원센터 | 2017-11-20 | 5858 | |
1680 | [모닝 스브스] 지진 나면 계단으로?…'장애인 대피요령' 시급 | 편의지원센터 | 2017-11-20 | 5909 | |
1679 | 수도권 10개 대학에 장애인 편의시설 위치·정보 담은 온라인 지도 구축한... | 편의지원센터 | 2017-11-17 | 6444 | |
1678 | 시각장애인을 위험에 빠뜨리는 점자블록? | 편의지원센터 | 2017-11-16 | 8255 | |
1677 |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주변에 철조망…"어떻게 쓰라고" | 편의지원센터 | 2017-11-16 | 5936 | |
1676 | 한인타운 인도 상태 엉망…“언제나 고쳐지나” | 편의지원센터 | 2017-11-15 | 5883 | |
1675 | 시각장애인 위험한 횡계시외버스터미널 출입문 | 편의지원센터 | 2017-11-15 | 6126 | |
1674 |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도봉구, ‘모든 구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 편의지원센터 | 2017-11-14 | 7329 | |
1673 | [고현수] 지속성장이 가능한 사회디자인으로서 유니버설 디자인 | 편의지원센터 | 2017-11-13 | 5364 | |
1672 | 돈 벌면 그만? 인도 점령한 빼빼로 판촉 판매대 | 편의지원센터 | 2017-11-10 | 7023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