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장애인 가기 어려운 민방위대피소 많다
편의지원센터
2017-11-30
8669
창원시, 장애인 이용가능 밝힌 곳 중
도움 없이 휠체어 진입 가능 41%뿐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은 4%만 설치

 

전쟁, 대규모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이용할 창원지역 민방위대피소에 장애인들은 접근조차 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권익옹호활동단 삼별초는 오는 1일 한국장애인재단 지원을 받는 ‘창원시 재난대피소 장애인 접근성 및 편의시설 모니터링 정책토론회’를 앞두고 이 지역 민방위대피소 실태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삼별초는 지난 3~10월 경남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함께 창원시로부터 제출받은 496개소의 민방위대피소 목록을 기준으로 방문 실태조사를 벌였다. 이들은 496개소 중 시가 장애인마크를 부착했거나 장애인이 이용 가능하다고 밝힌 대피소 417개소를 추렸고 이 가운데 315개소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

메인이미지
도청 신관 지하에 마련된 대피소로 들어가는 주차장. 입구 경사가 심해 장애인들이 재난 발생 시 대피소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성승건 기자/



조사 결과, 315개소 중 재난 시 장애인이 타인의 도움 없이 휠체어로 진입가능한 대피소는 129개소(41%)에 불과했다. 민방위대피소는 대부분 지하주차장에 있어, 계단을 이용하기 어려운 휠체어·전동스쿠터를 사용하는 장애인과 노인은 완만한 경사로를 통해 이동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계단에 경사로가 설치된 경우는 드물어 차량이 진입하는 경사로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보행자가 아닌 차량 중심으로 설계된 경사로는 가파르거나 나선형으로 돼 있고, 경사노면에 차량용 방지턱 또는 요철이 깔려 있어 장애인들이 2차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게다가 재난 발생 시 사이렌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경보기가 설치된 대피소는 8개소(3%)에 불과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이 설치된 대피소는 13개소(4%)로 조사됐다. 점자블록은 주로 대피소 건물 입구나 근처까지만 설치돼 있었고, 내부에 설치한 사례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 심장제세동기와 응급약품 등 재난응급용품이 비치되지 않은 대피소 역시 300개소(95%)에 달해,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들의 안전도 우려되는 수준이었다.

삼별초는 “모든 유형의 장애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대피소는 없었다”며 “창원시는 물론이고 전국적인 재난대피소를 대상으로 장애인 접근성을 전수조사해 모든 장애유형을 포괄하는 제도 및 법령 개선, 대피소 정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민방위대피소는 대부분 민간시설이어서 내부 시설을 조정할 권한이 없고, 재난응급용품을 비치해도 분실·파손 우려가 커 관리하기가 어렵다”며 “재난 상황 시 장애인은 물론이고 노인, 아동들은 현장에 배치된 인력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해명했다.

 

출처: 경남신문

해당기사링크: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233431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7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3143 무장애 도시 향해 발걸음 내딛는 부천시…'차별의 장벽 허문다'   편의지원센터 2022-12-22 1393
3142 울산 시각장애인 '이동권 보장' 갈 길 멀다   편의지원센터 2022-12-22 3267
3141 경기R&D센터 스테인리스 점자블록 수두룩 안전 위협   편의지원센터 2022-12-22 1715
3140 “초등생·장애인 안전 위한 건데, 정말 불필요한 예산입니까?”   편의지원센터 2022-12-22 2589
3139 ‘유니버설디자인 온라인 가상체험관’ 살펴보기   편의지원센터 2022-12-16 2087
3138 군포도시공사 시민안전단과 함께하는 시설 안전점검   편의지원센터 2022-12-16 1817
3137 동작, 안전 보행 보장… 도로시설물 전수조사   편의지원센터 2022-12-16 2321
3136 제주자치경찰,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1719대 전수조사   편의지원센터 2022-12-16 1699
3135 전국 경찰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5%… 임산부 휴게시설은 부족   편의지원센터 2022-12-16 2129
3134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2 부산장애포럼’ 리뷰   편의지원센터 2022-12-06 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