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이용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기준 확대
편의지원센터
2018-01-03
5901
장애인 편의시설을 면적 300㎡ 이하의 공중이용시설에도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창현 의원은 이 강은 내용의 장애인·노인·임산부 등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2일 밝혔다.
현행법은 바닥면적인 300㎡ 이상인 음식점, 제과점, 상점, 학원, 도서관, 운동시설 등 공중이용시설에 대해서만 장애인, 노인, 임산부를 위한 편의시설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음식점의 95.8%, 제과점 99.1%, 식료품 소매점 98%가 편의시설 설치 의무가 없다(국가인권위원회, 2014). 반면 장애인, 노인, 임산부는 300㎡ 이하의 소규모 시설인 식당, 상점, 운동시설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편의증진 개정안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사업장 면적 기준을 300㎡ 이하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신 의원은 “동네 식당, 제과점, 편의점 등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도 자유롭게 식사하고 물건을 살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창현 의원은 이 강은 내용의 장애인·노인·임산부 등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2일 밝혔다.
현행법은 바닥면적인 300㎡ 이상인 음식점, 제과점, 상점, 학원, 도서관, 운동시설 등 공중이용시설에 대해서만 장애인, 노인, 임산부를 위한 편의시설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음식점의 95.8%, 제과점 99.1%, 식료품 소매점 98%가 편의시설 설치 의무가 없다(국가인권위원회, 2014). 반면 장애인, 노인, 임산부는 300㎡ 이하의 소규모 시설인 식당, 상점, 운동시설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편의증진 개정안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사업장 면적 기준을 300㎡ 이하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신 의원은 “동네 식당, 제과점, 편의점 등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도 자유롭게 식사하고 물건을 살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출처: 에이블뉴스
해당기사링크: http://abnews.kr/1HLf
없음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48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731 | 장안구청·보건소 스테인리스 점자블록 수두룩 | 편의지원센터 | 2018-01-10 | 6092 | |
1730 | 포항 북구청 발광 점자블록 설치 | 편의지원센터 | 2018-01-09 | 5441 | |
1729 |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장애인 편의 ‘미흡’ | 편의지원센터 | 2018-01-08 | 6752 | |
1728 | 평창패럴림픽 장애인 편의시설 정비 완료 | 편의지원센터 | 2018-01-08 | 5891 | |
1727 | 시각장애인은 육교 계단을 이용하지 않는다? | 편의지원센터 | 2018-01-05 | 6002 | |
1726 | [CES 2018] 시각장애인 눈 대신할 혁신 제품들 | 편의지원센터 | 2018-01-05 | 6245 | |
1725 | 경기교육청, 1080개 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지원 | 편의지원센터 | 2018-01-04 | 5775 | |
1724 | [입법예고] 윤소하 의원,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 | 편의지원센터 | 2018-01-03 | 6734 | |
1723 | 공중이용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기준 확대 | 편의지원센터 | 2018-01-03 | 5901 | |
1722 | 송파구, 시각장애인 위한 '점자블록 지킴이선' 첫 설치 | 편의지원센터 | 2018-01-02 | 6388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