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장애인들이 장거리 여행을 가기란 보통 힘든 일이 아닙니다. 공항에 가서 비행기를 탈 때 따라가 봤더니 문제가 하나둘이 아니었습니다.
한지연 기자입니다.
<기자>
김포공항에서 제주도로 가는 한 시각장애인 동행자가 촬영한 화면입니다. 제주공항에 도착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는지 묻자.
[장애인 : 개인적으로 부탁하면 안내를 해주시는 거죠?]
[항공사 직원 : 저희가 따로 도우미 서비스가 없으신데 만약이라고 하시면 저희가 도와 드리긴 해요.]
하지만 제주공항에 도착하니 아무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문정/한국장애인재활협회 국장 : 혼자서 여행이나 방문은 지금 불가능한 상태라는 걸 의미하거든요.]
공항 청사에 반드시 설치하게 돼 있는 점자블록도 없습니다.
[아 정말 심각하다. 아예 선형 블록 자체가 없네요. 입구에 어떻게 들어가지?]
직접 공항을 찾아가 봤습니다. 이렇게 출입문에서도 바로 보이는 안내 데스크를 찾는 데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시각장애인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점자 블록이 없다 보니 출입구부터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불과 20m 남짓한 거리지만.
[실례합니다. 길 좀 여쭤볼게요.]
허공에 도움을 청했다 쭈뼛 쭈뼛하는 시민을 만나기도 여러 차례 결국, 1분 35초나 걸렸습니다.
공항에서 지하철로 통하는 길은 들어오는 쪽만 블록이 설치돼 있고.
[죄송합니다.]
위험한 상황도 발생합니다.
[엇 조심조심!]
[김포공항 관계자 : 리모델링을 진행을 할 수밖에 없으니까 이게 이렇게 된 부분입니다. (장애인분들이) 불편을 겪었다는 거는 뭐 인정 안 할 순 없죠.]
청각장애인도 마찬가지 기내에서 난기류에 대한 방송이 흘러나와도.
[좌석벨트 착용 상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기류변화로 비행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화면엔 어떤 주의 표시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장애인의 가장 큰 소망이지만 높은 문턱이기도 한 해외여행, 소수를 배려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아쉽습니다.
출처 : SBS 뉴스
해당기사 링크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84240&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136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853 | BF우수 남동구 다목적실내체육관 편의는? | 편의지원센터 | 2018-06-22 | 9388 | |
1852 | 영국과 독일의 교통약자를 위한 접근성 사례 | 편의지원센터 | 2018-06-21 | 10800 | |
1851 | 무장애로 떠나는 행복한 경기도 여행 | 편의지원센터 | 2018-06-18 | 6357 | |
1850 | 천안 청수도서관 교통약자 이용 불편 우려 | 편의지원센터 | 2018-06-18 | 6868 | |
1849 | 완주 삼례문화예술촌 '열린 관광지'로 선정 | 편의지원센터 | 2018-06-14 | 6661 | |
1848 | 세종 조치원소방서 민원실 1층 이전 편의제공 | 편의지원센터 | 2018-06-14 | 6297 | |
1847 | 장애인 유권자에 여전히 턱높은 투표소 | 편의지원센터 | 2018-06-12 | 6946 | |
1846 | 제천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신설·교체 | 편의지원센터 | 2018-06-11 | 6535 | |
1845 | 복지부-지자체 합동,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전수조사 | 편의지원센터 | 2018-06-05 | 6094 | |
1844 | 장애인 환승 불편 없는 신분당선 미금역 | 편의지원센터 | 2018-05-04 | 7933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