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장애인들이 장거리 여행을 가기란 보통 힘든 일이 아닙니다. 공항에 가서 비행기를 탈 때 따라가 봤더니 문제가 하나둘이 아니었습니다.
한지연 기자입니다.
<기자>
김포공항에서 제주도로 가는 한 시각장애인 동행자가 촬영한 화면입니다. 제주공항에 도착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는지 묻자.
[장애인 : 개인적으로 부탁하면 안내를 해주시는 거죠?]
[항공사 직원 : 저희가 따로 도우미 서비스가 없으신데 만약이라고 하시면 저희가 도와 드리긴 해요.]
하지만 제주공항에 도착하니 아무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문정/한국장애인재활협회 국장 : 혼자서 여행이나 방문은 지금 불가능한 상태라는 걸 의미하거든요.]
공항 청사에 반드시 설치하게 돼 있는 점자블록도 없습니다.
[아 정말 심각하다. 아예 선형 블록 자체가 없네요. 입구에 어떻게 들어가지?]
직접 공항을 찾아가 봤습니다. 이렇게 출입문에서도 바로 보이는 안내 데스크를 찾는 데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시각장애인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점자 블록이 없다 보니 출입구부터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불과 20m 남짓한 거리지만.
[실례합니다. 길 좀 여쭤볼게요.]
허공에 도움을 청했다 쭈뼛 쭈뼛하는 시민을 만나기도 여러 차례 결국, 1분 35초나 걸렸습니다.
공항에서 지하철로 통하는 길은 들어오는 쪽만 블록이 설치돼 있고.
[죄송합니다.]
위험한 상황도 발생합니다.
[엇 조심조심!]
[김포공항 관계자 : 리모델링을 진행을 할 수밖에 없으니까 이게 이렇게 된 부분입니다. (장애인분들이) 불편을 겪었다는 거는 뭐 인정 안 할 순 없죠.]
청각장애인도 마찬가지 기내에서 난기류에 대한 방송이 흘러나와도.
[좌석벨트 착용 상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기류변화로 비행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화면엔 어떤 주의 표시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장애인의 가장 큰 소망이지만 높은 문턱이기도 한 해외여행, 소수를 배려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아쉽습니다.
출처 : SBS 뉴스
해당기사 링크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84240&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149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723 | 공중이용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기준 확대 | 편의지원센터 | 2018-01-03 | 6083 | |
1722 | 송파구, 시각장애인 위한 '점자블록 지킴이선' 첫 설치 | 편의지원센터 | 2018-01-02 | 7637 | |
1721 | 경기장애인권익옹호기관 화장실 장애인 편의 미흡 | 편의지원센터 | 2017-12-28 | 5827 | |
1720 | 안전위협 춘천시외버스터미널 대합실 점자블록 | 편의지원센터 | 2017-12-27 | 5987 | |
1719 | 전쟁나도 장애인은 못가는 민방위 대피소 | 편의지원센터 | 2017-12-27 | 6734 | |
1718 | 제주시 공원 시설 실태조사 | 편의지원센터 | 2017-12-26 | 5865 | |
1717 | [단독] 인권위 “편의점 등 소규모 시설에 장애인 편의시설 의무화” | 편의지원센터 | 2017-12-26 | 5976 | |
1716 | 여수시, ‘보행자 안전 지킴이’ 안전보행시스템 설치 | 편의지원센터 | 2017-12-22 | 6214 | |
1715 | [사설] 장애인·노인 등 재난 약자 안전, 언제까지 내팽개칠 건가 | 편의지원센터 | 2017-12-22 | 5724 | |
1714 | 소리없는 음향신호기…시각장애인 '위험한 외출' | 편의지원센터 | 2017-12-21 | 7920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