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장애인 접근권①] 말뚝 박고 노후된 점자블록 방치···'위험천만' 대형마트
편의지원센터
2018-04-23
7954
국내 주요 대형마트 3사가 점포를 방문하는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각종 장애물로 빈축을 사고 있다. 사진은 홈플러스 문래점 출입구 앞에 설치된 볼라드.  볼라드는 쇼핑카트 진출입을 막기 위해 설치됐지만 장애인 보행에 지장을 준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영등포=안옥희 기자

국내 주요 대형마트 3사가 점포를 방문하는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각종 장애물로 빈축을 사고 있다. 사진은 홈플러스 문래점 출입구 앞에 설치된 볼라드. 볼라드는 쇼핑카트 진출입을 막기 위해 설치됐지만 장애인 보행에 지장을 준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영등포=안옥희 기자

 

 

 

 

롯데마트 서울역점은 매장이 비좁은 데다 사람과 물품까지 빼곡하게 들어차 있어 휠체어가 다닐 수 있는 공간이 없었다. 매장 곳곳에 각종 판매대와 카트가 즐비해 시각장애인 통행뿐 아니라 안전도 위협하고 있었다. 2층 장애인 주차 전용구역에는 관리 직원이 따로 없어 보행장애인 탑승 없이 불법 주차한 차량이 취재진을 확인하고 재빨리 주차장을 빠져나가는 모습도 포착할 수 있었다. 해당 차량은 장애인 주차표지를 부착했으나 보행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아 '장애인 등 편의법' 상 과태료 10만 원에 표지 회수 및 재발급 제한 규정이 적용된다.

이마트 타임스퀘어점도 매장 곳곳에 판매대가 놓여 있어 보행에 지장을 주고 있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장실 점자 표지판은 갖추고 있었지만 매장과 연결돼 있지 않아 쇼핑 중 화장실을 곧바로 이용할 수 없다.

시각장애인들은 직원 도움을 받는 서비스 없이 직접 매장을 방문해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 심각한 문제는 장애인을 위한 직원이 따로 있지도 않다는 것이다. 앞을 볼 수 없는 전맹 시각장애인은 혼자 마트 이용이 불가능해 활동 보조자나 마트 직원 등 다른 사람 도움이 필요하다. 샴푸 등 일부 생활용품이 점자를 표기하고 있지만 해당 상품을 찾는 것 역시 혼자는 불가능하다. 저시력 장애인도 시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상품명과 가격 등 정보가 매우 작은 글씨로 적혀 있어 독서확대기나 스마트폰 앱 없이 혼자 쇼핑하기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들은 또한 마트를 방문할 때 화장실 이용이 불편하다고 호소한다. 마트 직원의 성별이 같다면 화장실 안쪽까지 안내를 부탁할 수 있지만 성별이 다를 경우 입구에서부터 혼자 벽면을 더듬고 다니며 소변기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시각장애인 이 모 씨는 "화장실 이용이 진짜 곤혹스럽다"며 "소변기를 찾기 위해 여기저기 더듬고 다니다 변기 안에 손을 집어넣게 되는 것도 부지기수다. 이럴 때 비참함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일부 점포는 재난 발생 때 필요한 소방시설인 휴대용 손전등 앞에 물품을 쌓아놓고 있다.  또한 매장 곳곳 판매대를 설치해 장애인 통행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화장실을 알려주는 점자 표지판이 있어도 매장과 연결돼 있지 않아 다른 사람 도움 없이는 갈 수가 없다. /안옥희 기자
일부 점포는 재난 발생 때 필요한 소방시설인 휴대용 손전등 앞에 물품을 쌓아놓고 있다. 또한 매장 곳곳 판매대를 설치해 장애인 통행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화장실을 알려주는 점자 표지판이 있어도 매장과 연결돼 있지 않아 다른 사람 도움 없이는 갈 수가 없다. /안옥희 기자

 

상품 구매와 편의시설 문제뿐 아니라 재해, 재난 등 위급한 상황이 생겼을 때 장애인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매뉴얼과 대피시설이 전무한 것도 문제다.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비장애인은 비상구 위치와 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장치가 따로 없어 화재라도 일어난다면 대피 한번 제대로 하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 씨는 "최근 일어난 제천‧밀양화재 참사 때 비장애인도 속수무책으로 사고를 당했는데 비슷한 일이 마트에서 일어난다면 시각장애인은 대피 시도조차 못 할 것"이라며 "기업이 법적 의무 여부를 따지기 전에 생명권 문제인 만큼 비장애인을 위한 안전조치에 장애인 특성에 맞는 안전조치를 추가로 갖춰야한다"고 말했다.

김훈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정책연구원은 "대형마트가 장애인들과 협의해 실현 가능한 것부터 하나씩 개선하며 장애인 배려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더팩트

해당기사링크: http://news.tf.co.kr/read/economy/1720931.htm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133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883 진주시, 장애인 편의시설 전문교육 '역량강화'   편의지원센터 2018-07-23 6153
1882 의령군 점자민원 안내책자 제작 배포   편의지원센터 2018-07-19 8738
1881 장애인 직원 불편 없는 울산공장 (주)그린누리   편의지원센터 2018-07-19 7332
1880 강원도 양양에 서울시 장애인 해변캠프 내일 개장   편의지원센터 2018-07-17 6516
1879 인천시, 안전신고 우수자 포상금 지급 실시   편의지원센터 2018-07-17 6744
1878 R]점포시설 개선, 장애인 표준사업장 개소   편의지원센터 2018-07-16 6828
1877 권익위 “지자체 자연휴양림, 장애인 이용료 감면혜택 마련해야”   편의지원센터 2018-07-16 6531
1876 안동의료원,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지정   편의지원센터 2018-07-16 6657
1875 건립된 진주목공예전수관 장애인 불편 수두룩   편의지원센터 2018-07-12 8068
1874 증평군, 증평군립도서관 앞 사거리, 교통체제 개선   편의지원센터 2018-07-12 7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