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지하철 곳곳에는 시각장애인에게 길을 안내해 주는 음성유도기라는 게 설치돼 있습니다.
개인마다 별도 리모컨이 있어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데, 이걸 스마트폰 앱으로 만들어 보급하면 어떨까요.
이수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시각장애인은 미로처럼 꼬여 있는 지하철 역사에서 제 갈 길을 가는 게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시각장애인과 지하철 구내에 동행해 봤습니다.
주요 시설의 위치를 안내해 주는 음성유도기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묻자 예상 밖의 답변이 돌아옵니다.
▶ 인터뷰 : 전양호 / 서울 문정동
- "저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시각장애인이 이용도 못 하고, 알지도 못하세요."
실제 역사당 음성유도기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하루에 채 한 명도 안 됩니다.
전국적으로 이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들어간 예산만 수십억 원입니다.
문제는 전용 리모컨 보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데 있습니다.
▶ 스탠딩 : 이수아 / 기자
- "역사 내부 음성유도기를 작동시키려면 이렇게 전용 리모컨을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합니다."
구입처가 제한돼 있고, 어렵게 리모컨을 사더라도 음성유도기에서 엉뚱한 안내가 나오거나 꼭 있어야 할 곳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도 허다합니다.
▶ 인터뷰 : 김기복 / 시민교통안전협회 대표
- "음성유도기의 보급이 확대되더라도 리모컨 보급이 안 되다 보니까 무용지물이라고 봐야 옳을 겁니다."
리모컨을 스마트폰 앱으로 대체하는 등 효율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MBN뉴스 이수아입니다.
출처: MBN
해당기사링크: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3511412
전체 검색 수 : 3207개 / 321 페이지 중 135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867 | [카드뉴스] "장애인도 안전하게 지하철 이용하게 해주세요" | 편의지원센터 | 2018-07-03 | 6429 | |
1866 | 초록여행, 전 국민 참여 관광지 장애인 접근성 조사 캠페인 | 편의지원센터 | 2018-07-03 | 6785 | |
1865 | 충북 보은·영동·옥천·음성·진천군 점자블록 예산 0원 | 편의지원센터 | 2018-07-03 | 7084 | |
1864 | 경기도, 공공기관·복지시설 대상 장애인 편의시설 교육 실시 | 편의지원센터 | 2018-07-02 | 7786 | |
1863 | 건물들과 맺은 '피의 연대기' | 편의지원센터 | 2018-07-02 | 6353 | |
1862 | 유성구, 장애인전용주차구역 홍보 캠페인 전개 | 편의지원센터 | 2018-07-02 | 8768 | |
1861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규격 외 점자블록 수두룩 | 편의지원센터 | 2018-06-27 | 7704 | |
1860 | [기고] “배리어 프리, 누구나 편리함을 누리는 세상” | 편의지원센터 | 2018-06-27 | 6766 | |
1859 | 방학역·도봉역 엘리베이터 설치 환영한다 | 편의지원센터 | 2018-06-26 | 6882 | |
1858 | 진주시, 행안부 디지털 사회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공모 사업 선정 | 편의지원센터 | 2018-06-26 | 7051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