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갈 길 먼 대구 교통약자 여객시설 이용…장애인단체, 실태조사 결과 발표
편의지원센터
2019-03-11
8232

대구시지체장애인협회, '2018년 대구시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실태조사' 발표
市 세미나에서 “지속적인 개선공사, 의견 반영해 불편함 해소할 것”

대구시지체장애인협회와 대구시·시의회는 지난 7일 시의회에서 세미나를 열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확보에 합심하기로 했다. 대구시지체장애인협회 제공.
대구시지체장애인협회와 대구시·시의회는 지난 7일 시의회에서 세미나를 열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확보에 합심하기로 했다. 대구시지체장애인협회 제공. 
   

대구 버스정류장·도시철도 등에 설치된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수준이 대체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6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하 교통약자법)이 시행됐지만, 여전히 대구시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대구시지체장애인협회는 '2018년 대구시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1월까지 3개월간 대구 버스정류장 1천709곳, 도시철도 역사 88곳, 여객자동차터미널 5곳 등 1천802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보행 접근로와 점자블록, 장애인 전용화장실, 대기 시설 등을 조사했다고 장애인협회는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대구 버스정류장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40.4%로 가장 낮았다. 이어 여객자동차터미널 45.6%, 도시철도 역사 80.9% 순이었다. 기준적합 설치율은 이동편의시설이 교통약자법의 세부항목별 기준에 적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김창환 대구시지체장애인협회 회장은 "기준적합 설치율이 50% 미만이면 교통약자가 이용할 수 없다는 뜻"이라며 "대구 여객시설의 이동편의시설 수준은 전국 8개 특별·광역시 중 최하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동편의시설이 있으나 실제 이용하기에 어렵게 설치된 비율인 '부적정 설치율'도 버스정류장이 22.5%로 가장 높았다. 여객자동차터미널은 9.7%, 도시철도역사는 8.2%였다. 편의시설이 있어야 할 곳에 없는 '미설치율'은 여객자동차 터미널 44.7%, 버스 정류장 37.1%, 도시철도 역사 10.9% 순이었다.

서덕찬 대구시 교통정책과장은 "시설 개선공사로 교통약자 이동권을 높이고 설치 예정인 시설을 사전 점검할 때도 장애인 개인과 단체 의견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했다.

출처: 매일신문

해당링크:

https://news.imaeil.com/Society/2019030815390630177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04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171 [사설]교통약자에게 최고의 복지는 이동편의다   편의지원센터 2019-06-11 6456
2170 정재욱 시의원, 장애인 편의시설 지도점검   편의지원센터 2019-06-11 7658
2169 빛고을IL센터, ‘우리동네 무장애 마을 만들기’ 캠페인   편의지원센터 2019-06-11 7386
2168 도로공사, 아이디어 제안에 ‘기각' 난발......   편의지원센터 2019-06-10 7163
2167 불교계 장애인 인식 현주소는? "포교 인력·시설 부족"   편의지원센터 2019-06-05 6986
2166 최종현 의원, “회전교차로.. 장애인들한테 최고 취약지점”   편의지원센터 2019-06-05 6381
2165 강동주민들 "산하지구 이번엔 꼭 준공을"   편의지원센터 2019-06-05 6677
2164 서울 시각장애인 4만2천명…자립지원 이대로 괜찮나   편의지원센터 2019-06-05 8407
2163 고속도로 휴게소, 장애인 안전 뒤전 장사에만 혈안   편의지원센터 2019-06-05 6770
2162 [황인 병영칼럼] 남산 둘레길의 즐거움   편의지원센터 2019-06-05 8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