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사회사목담당 유경촌 주교, 장애인의 날 담화
편의지원센터
2019-04-17
8968
서울대교구 사회사목담당 교구장 대리 유경촌 주교는 4월 20일 제39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담화를 발표하면서 “사회와 교회 안에 아직도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직·간접적 차별에 대해 우리의 무관심을 뉘우치자”고 당부했다.
유 주교는 2017년 통계청 자료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254만여 명이고,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 등록 장애인은 39만2000여 명으로, 서울대교구 모든 본당마다 평균 4%, 즉 2000명의 교우가 있는 본당이라면 적어도 80명의 장애인이 본당에 있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본당에서 그렇게 많은 장애인을 찾아보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유 주교는 “우리 교구에 시각장애인들이 모인 ‘성라파엘사랑결(준)본당’과 농아인들이 모인 ‘에파타(준)본당’이 있는데, 이분들이 따로 모이지 않아도 각자 본당에서 불편이 없을 만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본다”고 말했다.
특히 “장애인 편의시설은 특별한 혜택이 아니라 당연한 권리라는 인식을 모두가 공유하고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장애를 장애로 느끼지 않을 수 있을 만큼 자연스럽게 서로 어울려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 주교는 2017년 통계청 자료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254만여 명이고,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 등록 장애인은 39만2000여 명으로, 서울대교구 모든 본당마다 평균 4%, 즉 2000명의 교우가 있는 본당이라면 적어도 80명의 장애인이 본당에 있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본당에서 그렇게 많은 장애인을 찾아보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유 주교는 “우리 교구에 시각장애인들이 모인 ‘성라파엘사랑결(준)본당’과 농아인들이 모인 ‘에파타(준)본당’이 있는데, 이분들이 따로 모이지 않아도 각자 본당에서 불편이 없을 만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본다”고 말했다.
특히 “장애인 편의시설은 특별한 혜택이 아니라 당연한 권리라는 인식을 모두가 공유하고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장애를 장애로 느끼지 않을 수 있을 만큼 자연스럽게 서로 어울려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 카톨릭 신문
해당링크:
없음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3203 | "노란색 횡단보도", 모두를 위한 안전인가?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위험한 혼... | 시각편의센터 | 2025-05-23 | 24 | |
3202 | 60cm의 여백,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발걸음을 위한 약속 | 시각편의센터 | 2025-05-23 | 30 | |
3201 |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 시각편의센터 | 2025-03-31 | 242 | |
3200 |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 시각편의센터 | 2025-03-11 | 195 | |
3199 | 연구 뿐인 시각장애인 실내 보행 네비게이션, 상용화의 그날은 언제 | 시각편의센터 | 2025-01-10 | 393 | |
3198 | 진정한 의미의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법을 기대하며 | 시각편의센터 | 2025-01-10 | 346 | |
3197 | [홍보]2025년 센터 주요 사업 안내 | 시각편의센터 | 2025-01-06 | 352 | |
3196 | [인식개선, 뉴스]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각 도시철도 운영사와 차... | 시각편의센터 | 2024-12-23 | 239 | |
3195 | [인식개선, 뉴스]2024 17개 시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실무자 워크... | 시각편의센터 | 2024-12-23 | 294 | |
3194 |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 필요 | 첨부파일 1개 있음 | 시각편의센터 | 2024-12-16 | 300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