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 볼라드' 정비사업 허점...교체제품도 훼손 되풀이
편의지원센터
2020-05-12
7789

지난 2017년 안전위해 전면 정비 사업 추진 불구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돼 '문제'


KakaoTalk_20200507_144556000

대전 서구에 설치된 볼라드가 파손돼 있다.대전 자치구가 추진 중인 '볼라드 전면 정비사업’에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새로 교체한 상당수 제품이 얼마 지나지 않아 쉽게 훼손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어서다.

7일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볼라드(차량진입억제용말뚝)는 불법 주·정차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시설물로, 보행자 통행 편의를 위해 설치되고 있다.

이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에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해 높이는 80~100cm, 지름은 10~20cm로 구성돼야 하며, 보행자 등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지자체들은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설치된 볼라드에 대한 정비사업을 진행해 왔다.

2017년부터 보행자의 통행 불편과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시설기준에 부적합한 볼라드에 대해 내년까지 17억 원을 투입해 연차적으로 정비 중이다.

문제는 새로 설치된 볼라드가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사례가 되풀이 된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기준 설치된 볼라드는 동구 1600개, 중구 1800개, 서구 6200개, 유성구 4800개, 대덕구 2900개 등이다.

이중 올해 보수·교체된 볼라드는 동구 약 50개, 중구 약 30개, 서구 약 40개, 유성구 약 50개, 대덕구 약 300개로 파악됐다.

또 일부 자치구는 정비 계획이 세워진 것만 수백에 달한다.

이렇듯 쉽게 훼손되면서 예산 낭비 지적이 일고 있다.

실제로 볼라드 1개당 자제 비용은 약 20만 원 정도다. 볼라드 300개를 교체했을 경우엔 6000만 원이라는 세금이 투입되는 셈이다. 대전 시민 A 씨는 "지난해 9월 손상된 볼라드가 교체됐다. 교체된 볼라드는 1년도 지나지 않아 다시 파손됐는데, 신고를 해야만 항상 교체를 진행한다"며 "안전을 위한다는 취지도 무색해지고, 교체할 때마다 투입되는 예산 또한 낭비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한 자치구 관계자는 "파손된 부위만 일부 교체한다고 해도 10만 원가량이 소요된다. 예산 문제 때문에 파손 민원이 접수돼도 바로 교체하기 쉽지 않은 부분도 있다"며 "또한 수시 점검을 다니긴 하지만, 인력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파손된 볼라드는 대부분 민원이 들어와야 처리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KakaoTalk_20200507_144557591

대전 서구에 설치된 볼라드가 파손돼 있다.

출처 : 중도일보

해당 기사링크 :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200507010002007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92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293 건설 중단 현장 장애인 보행권 침해…인명사고 위험   편의지원센터 2020-02-07 5940
2292 현장르포] 장애인 편의시설 낙후된 과천시청,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부적합   편의지원센터 2020-02-04 8321
2291 점자블록 고정 안 되고 잡풀 자라 보행 방해   편의지원센터 2020-02-04 6749
2290 장애인이 편한 길은 모두에게 편하다   편의지원센터 2020-02-04 7836
2289 보령해경 신청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BF) 획득   편의지원센터 2020-02-03 6976
2288 철도공단, 철도역사 시각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추진   편의지원센터 2020-02-03 7164
2287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배리어 프리'로 건립 된다   편의지원센터 2020-02-03 7315
2286 천안시 저상버스 정류장 함량미달 수두룩   편의지원센터 2020-01-30 6885
2285 [이동미, 열린관광지를 가다 ①] 대부분 평지…비상벨ㆍ촉지 표지판 아쉬워...   편의지원센터 2020-01-30 7380
2284 시각장애인 ‘약물·휴대폰 방전’ 대응법   편의지원센터 2020-01-29 8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