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현장르포]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 '사각지대 여전'
편의지원센터
2020-12-18
6152

장애인 고려 안된 우수받이…휠체어는 아직도 두렵다

7최근 경기도의 한 지자체가 정비한 횡단보도와 보행로 사이 경사로에 휠체어 바퀴 폭보다 틈이 넓은 우수받이가 설치돼 있어 장애인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도로로 인도하는 점자블록 등 여전

개정안 통과됐으나 의견 반영 아쉬움

교통약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지자체의 도로·보도 정비 탓에 장애인들의 안전하게 이동할 권리가 위태롭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강창원(48)씨는 사진 촬영이 취미다. 왕복 5㎞가 넘는 거리를 오갈 때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지만, 가까운 곳에 갈 때는 카메라 장비를 둘러메고 수동휠체어를 이용한다.

횡단보도를 건너 다시 보행로로 올라가려고 하는 그 순간이 강씨에겐 가장 아찔하다. 보행로로 올라서는 경사로에 우수받이가 설치된 경우가 많은데, 이 우수받이의 틈이 휠체어 앞바퀴보다 넓어 자칫 잘못하면 빠져 넘어지기 일쑤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인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고 왕복 6차로의 사거리 한가운데로 유도하는 점자 블록이 설치된 곳도 있다. 횡단보도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점자블록을 설치해야 하는데, 진행방향이 아닌 사거리의 중심으로 시각장애인을 안내하는 점자블록이 깔려 있었다.

경기도는 교통약자 이동권을 증진하고자 전국 지자체 최초로 지난 2014년 5월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의 사전·사후 점검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를 설치해 민간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최근 국회에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개정안이 통과됐으나 기준적합성 심사를 할 때 장애인 등 교통약자 관련 법인 또는 단체의 의견을 들을 수 있다는 데 그쳐 다소 아쉽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다른 법률에도 장애인 단체 등의 의견을 들을 수 있다는 조항이 꽤 있어 이를 감안한 수준에서 개정이 된 것"이라며 "교통약자를 최대한 배려하면 좋겠지만, 사업자들의 허가 절차 지연 등의 부담을 고려해 절충했다"고 설명했다. 

출처 : 경인일보

해당 기사링크 :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01217010003962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9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3209 '교통약자'에 시각장애인은 없었다 – 스마트 철도기술 전면 재검토해야!   시각편의센터 2025-10-24 7
3208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도로교통공단과 협업하여 흰지팡이날 기념 시각장애...   시각편의센터 2025-10-24 14
3207 2025년도 제2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시각편의센터 2025-10-22 30
3206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의 올바른 설치 기준 정립 및 개발 연구 이해관계자 자...   시각편의센터 2025-10-22 28
3205 2025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무자 교육 진행   시각편의센터 2025-10-22 30
3204 모두가 '안전하게' 걷는 나라를 위하여   시각편의센터 2025-09-10 143
3203 선형블록 좌우 60cm 공간 확보로 시각장애인의 안전보장해야!   시각편의센터 2025-06-30 238
3202 "노란색 횡단보도" 확대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합의 우선되어야!   시각편의센터 2025-06-30 211
3201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시각편의센터 2025-03-31 772
3200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시각편의센터 2025-03-11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