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길거리에는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을 돕는 각종 편의시설들이 있죠.
하지만, 아직 만들기만 했지 관리가 부실한 곳들이 대부분입니다. 시각장애인들의 외출은 여전히 불안하기만 합니다.
정태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시각장애인 김 모 씨는 혼자서는 밖을 나서지 못합니다.
거리의 점자블록에 의지하는 것이 두렵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김 모 씨 / 시각장애인
- "점자유도블록이 원래 설치돼 있어야 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어서…. 끊겨 있다거나 갑작스럽게 잘리거나 그러면 길을 잃게…."
특히 가장 위험한 횡단보도 앞은 문제가 더 심합니다.
▶ 인터뷰 : 김 모 씨 / 시각장애인
- "횡단보도쪽 점자블록이 잘 안 돼 있으면 빠지거나…. 지팡이 보행을 하다 보면 볼라드(차량 진입 방지용 말뚝) 위로 부딪치거나 해서 다리에 멍이 드는…."
▶ 스탠딩 : 정태웅 / 기자
- "최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횡단보도 앞 점자블록의 적정 설치율은 약 16%에 불과했는데, 일부는 설치조차 돼 있지 않았습니다."
시설 유지 관리가 제대로 안 돼 있거나 설치 위치 등에 문제가 있었단 뜻입니다.
서울의 한 식당가도 살펴봤습니다.
여러 자재들에 점자 블록이 가려진 경우가 곳곳에서 발견됩니다.
통행량이 많은 신호등 앞인데, 음향신호기가 없는 곳도 있습니다.
전동킥보드 등 다양해진 이동수단도 시각 장애인이 안심하고 걷기엔 어려워진 환경입니다.
▶ 인터뷰 : 홍서준 /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연구원
- "교통행정기관에서 강제를 시켜도 교통사업자까지 행정력을 미치지 못해 실제 막상 이행 강제가 이뤄지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자꾸 새로운 시설들, 교통수단들이 생겨나면서 제도적인 부분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거리의 눈', 더 늘리고 보호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출처 : MBN
해당 기사링크 : https://www.mbn.co.kr/news/society/4374820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70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2513 | 11월4일은 점자의 날…관공서 무용지물 점자안내지도 수두룩 | 편의지원센터 | 2020-11-05 | 5026 | |
2512 | 울진종합버스터미널 화장실 장애인 불편 수두룩 | 편의지원센터 | 2020-11-05 | 6020 | |
2511 | 다음 달부터 13세 이상 누구나 이용 가능, 전동킥보드 안전 위한 과제는 | 편의지원센터 | 2020-11-03 | 4852 | |
2510 | 인천서부서, LED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및 응급입원 대응 업무협약 체결 | 편의지원센터 | 2020-11-03 | 5932 | |
2509 | 횡단보도 등 13개 구역 전동킥보드 주·정차 안돼 | 편의지원센터 | 2020-11-03 | 5854 | |
2508 | 점자 안내판 늘리고 장애물 없애는 국회…BF 인증 자발적 연장 | 편의지원센터 | 2020-10-30 | 5407 | |
2507 | 문진석 의원, 교통약자 위해 기존 건물도 BF 인증 및 단계적 개선 추진해야 | 편의지원센터 | 2020-10-30 | 5444 | |
2506 | BF인증제도 10년, 공공시설 인증률 ‘바닥’ | 편의지원센터 | 2020-10-30 | 5876 | |
2505 | 최경숙 원장, “BF인증 운영기관 설립 시급한 과제” | 편의지원센터 | 2020-10-30 | 5869 | |
2504 | 강동구의회 박희자 행정복지위원장, 시내버스 정류장 명칭 알기 쉽게 바뀌... | 편의지원센터 | 2020-10-28 | 6122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