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위치한 공공시설 내 편의시설 부적정 설치로 시각장애인들이 시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은 점자블록이 파손된 모습 김도균기자
경기도에 위치한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 내 편의시설 부적정 설치로 시각장애인들이 시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는 전국 17개 시도 소재 청사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서 7위를 기록했다.
도는 모두 1천69개의 기준 항목 수 가운데 39.1%인 418개의 부적정 설치가 확인됐다.
현재 경기지역 내 거주 중인 시각장애인은 5만4천660명이다.
이날 중부일보 취재진이 현장을 찾은 결과 수원시 영통구 한 행정복지센터의 점자블록은 유지관리가 되지 않아 파손된 상태였다. 특히 또 다른 행정복지센터는 손잡이 점자표지판이 설치되지 않은 곳도 있었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 도보에 큰 도움을 주는 장치다. 이 점자블록이 파손되면 시각장애인은 도보를 제대로 하기 어려워 넘어지는 등 위험에 노출된다. 또한 손잡이 점자표지판의 경우 위치가 어딘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일한 수단으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 출입문을 찾지 못하는 등 어려움이 생긴다.
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는 장애인들이 보다 더 공공기관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2020년 ‘장애인편의시설 교육 매뉴얼’을 발간, 설치 기준을 제시했다.
그러나 대부분 기관 시설이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서 시각장애인들의 공공시설 이용 문턱은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시각장애인 A씨는 "최근 행정복지센터를 찾았다가 파손된 점자블록에 걸려 크게 넘어질 뻔한 적이 있다"며 "이후로 공공기관 방문이 두려워졌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시각장애인 B씨는 "점자표지판이 없는 것도 문제지만,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책자 역시 점자로 된 것이 없어 센터 직원 설명에만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며 "전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시설 배려가 여전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고 언급했다.
수원시는 이 같은 문제에 대해 보건복지부 지적사항으로 오는 6월까지 시정 작업을 마치겠다는 의견을 내놨다.
시 관계자는 "복지부에서 해당 지적사항이 전달돼 각 구청에 안내한 상황이다"며 "오는 6월까지 보수 작업을 마쳐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중부일보
해당기사링크: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541846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22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2993 | 시각 장애인도 '스스로' 버스를 탈 수 있다 | 편의지원센터 | 2022-06-21 | 2615 | |
2992 | 대검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 엄정 대응…장애인 지원 강화" | 편의지원센터 | 2022-06-17 | 2521 | |
2991 | 장애인 피난설비 없는 공공임대주택 '차별' | 편의지원센터 | 2022-06-17 | 2041 | |
2990 | 대전교통공사, '시각장애인 안전체험열차' 운행 | 편의지원센터 | 2022-06-17 | 3231 | |
2989 | 코레일, 교통약자 위한 '맞춤형 스마트 내비게이션' 개발 착수 | 편의지원센터 | 2022-06-17 | 2760 | |
2988 | 제주 '재활용도움센터' 장애인편의 보장해야 | 편의지원센터 | 2022-06-17 | 2378 | |
2987 | 키오스크 1000여개 중 장애인 고려한 기기는 '1대' | 편의지원센터 | 2022-06-14 | 2641 | |
2986 | 이동약자 위한 디지털 대전환, 제주서 구현된다 | 편의지원센터 | 2022-06-14 | 2350 | |
2985 | [현장, 그곳&] 점자블록에 자재 수북… 길 잃은 시각장애인 | 편의지원센터 | 2022-06-14 | 2627 | |
2984 | 코엑스 1층 B홀 전시장 내부 화장실 장애인 편의 미흡 | 편의지원센터 | 2022-06-10 | 3124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