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잘못된 엘리베이터용 점자표시 개정된다
편의증진센터
2013-06-11
8375

장애인들 요구에 6개월만에… KS 예비고시 중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3-06-07 11:31:48

 

KS 표준(좌측)은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점자규격(좌측)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 KS 표준(좌측)은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점자규격(좌측)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기존의 잘못된 엘리베이터용 점자표시 표준에 장애인단체가 지속적으로 개정 요청을 하자 6개월 만에 기술표준원이 기존의 표준을 개정, 내용을 6월 한 달간 고시한다.

이번 개정은 표준에 기술된 점자 크기 및 간격, 점자 돌출 높이와 점자간의 피치 등이 실제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점자의 규격과 상당히 상이하기 때문에 이뤄지게 됐다.

점자는 왼손의 검지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촉지(觸知)하는 것으로 그 크기나 형태가 일정한 규칙으로 정해져 있어 시각장애인이 읽고 쓸 수 있다.

점의 크기, 점간의 피치 등이 점자 표준과 상이하게 되면 시각장애인은 촉지가 힘들게 되어 다른 글자로 오역(誤譯)할 수 있기 때문에 점자는 반드시 정해진 규격을 준수해야 한다.

하지만 기술표준원은 2002년 엘리베이터용 점자표지 표준원안 제정부터 최근 개정에 이르기 까지 점역교정사와 같은 점자 관련 전문가나 유사 단체의 자문, 참여 없이 진행했다.

이에 엘리베이터용 점자표지 표준은 표준 아닌 표준으로 전락됐고 심지어 다른 제품 조작부 버튼이나 지침에 오용되어 피해가 확산되기까지 이른 것.

지금까지 엘리베이터용 점자표지 표준원안 작성위원회의 구성은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엘리베이터 주요 업체들이며, 심의는 학계, 한국산업안전공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소 및 기관, 엔지니어닝 회사 등이 참여했다

이에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산하 한국시각장애인편의증진센터는 엘리베이터용 점자표지 표준과 관련해 기술표준원에 계속적으로 수정 및 개정을 요청했고, 지난 4월에 이르러 원안 작성처인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으로 부터 회신을 받아 의견을 개진하게 된 것.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관계자는 “표준 개정의 필요성을 시인하고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의 점자규격을 적극 수용토록 했으며, 해당 표준 개정안은 현재 KS 예비고시 중에 있다”고 말했다.

편의증진센터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도 복지 선진국과 같이 시각장애인의 기본적인 읽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금번 개정된 KS규격을 관련 법률안에 포함하는 등 적극적인 수용이 요망된다”며 “잘못되거나 오류가 있는 표준 및 지침에 대해서 관리, 감시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277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443 생활체육대축전 장애인볼링경기장 한숨 뿐   편의증진센터 2013-05-29 6914
442 장애인 목숨 위협하는 ‘대방역’의 실태   편의증진센터 2013-05-29 9207
441 목포다목적체육관 장애인편의 '2% 부족'   편의증진센터 2013-05-24 7107
440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단속 편의 고려 필요   편의증진센터 2013-05-23 7082
439 도시철도 승강장에 승하차용 출입문 설비해야   편의증진센터 2013-05-22 7355
438 장애인 이용 힘든 공주시청 ‘장애인화장실’   편의증진센터 2013-05-21 7869
437 서소문청사 전망대, 아쉬운 '장애인 편의'   편의증진센터 2013-05-20 7275
436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주차 근절 대책 제시   편의증진센터 2013-05-20 6790
435 “버스터미널, 주요 병원 등 장애인 편의시설 운영관리 필요”   편의증진센터 2013-05-16 7067
434 병원·공공기관 시각장애인 편의 ‘부족’   편의증진센터 2013-05-15 8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