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인천 ‘영종동주민센터’ 장애인 편의 ‘미흡’
편의증진센터
2013-08-01
8514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3-07-31 18:34:25

 

점자촉지도식안내판은 부식형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손끝으로 읽기 불편하다.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버튼과 직원호출버튼도 없다. ⓒ박종태 

 ▲ 점자촉지도식안내판은 부식형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손끝으로 읽기 불편하다.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버튼과 직원호출버튼도 없다. ⓒ박종태

 

인천시 중구 ‘영종동주민센터’의 장애인 편의시설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종동주민센터는 지상 1층∼3층인 영종복합청사의 1층 일부를 사용하고 있다.

지난 30일 직접 찾아가 점검한 결과 건물 입구에 점자촉지도식안내판은 부식형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손끝으로 읽기 불편하다.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버튼과 직원호출버튼도 없다.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설치된 점자블록 위에는 의자가 놓여 있어 부딪쳐 다칠 위험이 있다.

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장애인화장실을 살펴보면 먼저 출입문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이 출입하기 힘든 접이식이며, 문고리 잠금장치도 사용할 수 없는 현실이다.

내부는 전동휠체어와 전동스쿠터가 이동하는데 불편을 정도로 좁았다. 세면대, 용변기 등받이, 비상호출버튼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휴지걸이는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 사용하기 편한 최적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됐다.

비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이 열고 닫기 힘든 여닫이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성별을 구분할 수 있는 점자표지판과 그 밑에 점자블록이 설치됐다. 하지만 점자블록을 한 장만 설치해도 되는데, 2장을 설치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의 이동에 불편을 초래할 것으로 보였다.

또한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없어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반면 한곳의 소변기에 손잡이 설치돼 있어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데 불편이 없었다.

이 밖에도 계단의 점자블록과 손잡이에 점자표지판의 설치 상태는 양호했다.

중구청 관계자는 “영종동주민센터와 협의해 불편한 장애인 편의 시설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영종동주민센터는 지상 1층∼3층인 영종복합청사의 1층 일부를 사용하고 있다. ⓒ박종태

 ▲ 영종동주민센터는 지상 1층∼3층인 영종복합청사의 1층 일부를 사용하고 있다. ⓒ박종태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설치된 점자블록 위에는 의자가 놓여 있어 부딪쳐 다칠 위험이 있다. ⓒ박종태 

 ▲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설치된 점자블록 위에는 의자가 놓여 있어 부딪쳐 다칠 위험이 있다. ⓒ박종태

 

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더욱이 비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이 열고 닫기 힘든 여닫이다. ⓒ박종태 

 ▲ 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더욱이 비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이 열고 닫기 힘든 여닫이다. ⓒ박종태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이 출입하기 힘든 접이식이며, 문고리 잠금장치도 사용할 수 없는 현실이다. ⓒ박종태 

 ▲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이 출입하기 힘든 접이식이며, 문고리 잠금장치도 사용할 수 없는 현실이다. ⓒ박종태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전동휠체어와 전동스쿠터가 이동하는데 불편을 정도로 좁았다. 세면대, 용변기 등받이, 비상호출버튼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전동휠체어와 전동스쿠터가 이동하는데 불편을 정도로 좁았다. 세면대, 용변기 등받이, 비상호출버튼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같이 사용하는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없어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박종태 

 ▲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같이 사용하는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없어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박종태

 

남자비장애인화장실 한 곳의 소변기에는 손잡이가 양호하게 설치돼 있다. ⓒ박종태 

 ▲ 남자비장애인화장실 한 곳의 소변기에는 손잡이가 양호하게 설치돼 있다.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 기자 (so0927@chol.com)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276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453 여수 여명학교 장애학생 안전도, 편의도 ‘실종’   편의증진센터 2013-06-11 7243
452 광주 남구청 건물 전층에 ‘장애인화장실’ 설치   편의증진센터 2013-06-11 9509
451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장애인 편의 ‘미흡’   편의증진센터 2013-06-11 7130
450 한사람을 위한 음향신호등 ‘훈훈’   편의증진센터 2013-06-07 7960
449 시각장애인 사고에 뻔뻔한 서울메트로   편의증진센터 2013-06-07 7613
448 장애인 지하철 편의시설 설치 촉구   편의증진센터 2013-06-05 7989
447 개관한 추사박물관, 부족한 장애인 편의는?   편의증진센터 2013-06-05 7722
446 깨진 점자블록 ‘시각장애인 편의 불감증’   편의증진센터 2013-06-03 7623
445 수원시, 장애인겸용 무인민원발급기 설치   편의증진센터 2013-05-29 7377
444 말끔한 주상복합아파트 상가 장애인편의 뒷전   편의증진센터 2013-05-29 8634